본문 바로가기
금융

청년희망적금 은행별 금리와 신청방법 및 가입대상

by ckgno 2022. 2. 23.

청년희망적금 은행별 금리와 신청방법 및 가입대상

 

 

청년희망적금은 2년 동안 매달 50만 원씩 불입하면 저축장려금 명목으로 최대 36만 원을 받을 수 있으며 이자에 대한 소득세와 농어촌특별세를 부담하지 않아도 됩니다. 청년희망적금 이용 가능 은행과 가입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 

 

1. 청년희망적금 취급 은행

청년희망적금을 취급하고 있는 시중 은행은 총 11개 입니다. 아래 열거해드리는 은행중에서 거래하기 편리하다고 생각되는 은행 1곳을 선택해 계좌를 개설하시기 바랍니다. 청년희망적금 취급은행은 아래와 같습니다.

 

  • 국민은행(1588-9999)
  • 신한은행(1577-8000)
  • 하나은행(1588-1111)
  • 우리은행(1588-5000)
  • 농협은행(1661-3000)
  • 기업은행(1588-2588)
  • 부산은행1588-6200)
  • 대구은행(1566-5050)
  • 광주은행(1588-3388)
  • 전북은행(1588-4477)
  • 제주은행(1588-0079)

 

2. 청년희망적금 가입방법

직접 은행 영업점을 방문하거나 온라인 비대면으로 가입할 수 있습니다. 단, 직접 은행에 방문하는 대면 가입과 비대면 가입 가능 시간이 다릅니다.

 

  • 비대면 가입 시간 : 09:30 ~ 18:00(영업일 기준)
  • 대면(방문) 가입 : 09:30 ~ 15:30(단, 탄력 지점 등 은행 운영시간 사전 문의 요망)

 

3. 청년희망적금 계좌 개설 개수

1개 은행을 정해 1인 1 계좌만 가능합니다.

 

 

4. 청년희망적금 미리 보기 참여 여부

청년희망적금에 가입할 수 있다는 문자 연락을 받은 분은 '미리 보기'를 실행한 은행에서 중복으로 가입요건에 관한 확인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바로 가입을 할 수 있습니다. 반대로 '미리보기' 서비스 미참여자는 가입요건 확인 절차를 진행한 후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5. 청년희망적금 5부제 가입

2월 21일부터 2월 25일까지 가입하는 경우 혼잡함을 줄이고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5부제 방식으로 가입절차가 진행됩니다. 출생연도별 가입 가능한 날짜 및 요일은 다음과 같습니다.

 

  • 91년, 96년, 01년 출생자 : 2월 21일(월)
  • 87년, 92년, 97년, 02년 출생자 : 2월 22일(화)
  • 88년, 93년, 98년, 03년 출생자 : 2월 23일(수)
  • 89년, 94년, 99년 출생자 : 2월 24일(목)
  • 90년, 95년, 00년 : 2월 25일(금)

 

6. 청년희망적금 은행별 금리

청년희망적금을 취급하는 11개 은행 기본금리는 5%입니다. 그러나 우대금리를 적용하면 더 높은 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. 청년희망적금 은행별 금리는 아래 내용을 참조하세요.

 

  • 국민은행 : 최고 연 6.0%(우대금리 적용)
  • 기업은행 : 최고 연 5.9%
  • 신한은행, 하나은행, 우리은행 : 연 5.7%
  • 농협은행, 대구은행, 부산은행, 제주은행 : 연 5.5%

 

여기에 정부에서 실시하는 저축장려금을 최대 4% 적용하고 이자소득세 면제, 농어촌특별세 면제 혜택까지 적용하면 금리 혜택은 10%대로 높아집니다. 

 

 

7. 청년희망적금 가입 가능 대상

- 만 19세 이상 ~ 34세 이하

- 2021년 1월에서 12월 사이 총 급여 3600만 원 이하(종합소득금액 2600만 원)

- 가입 관련 직업 제한 없음(공무원이어도 요건 충족 시 가입 가능)

 

 

8. 청년희망적금 가입 불가 대상

- 대학생

-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 가입 불가

- 소득이 없는 사람

- 소득이 있어도 국세청 소득금액 증명을 할 수 없는 사람

 

 

청년희망적금 은행별 금리와 5부제 적용 신청방법 및 가입 가능 대상과 불가능 대상에 대한 내용을 마치겠습니다.

 

 

댓글